반응형

 

"지금까지 이런 조종사는 없었다.". 탑건의 톰 크루즈도 놀란 '조종사의 정체'가 밝혀지자, 모두가 놀랐다.
"지금까지 이런 조종사는 없었다.". 탑건의 톰 크루즈도 놀란 '조종사의 정체'가 밝혀지자, 모두가 놀랐다.

 

전설적 파일럿 톰 크루즈도 깜짝 놀랄 만한 비행기 조종 실력을 가진 파일럿 로봇이 세계 최초로 등장한다.

 

카이스트(KAIST)는 비행기 조종이 가능한 인간형 로봇을 개발하고 본격적으로 실용화할 계획이라고 19일 밝혔습니다.

비행 시뮬레이터에 탑승하여 조종중인 파이봇
비행 시뮬레이터에 탑승하여 조종중인 파이봇

KAIST 심현철 교수와 주재걸, 윤국진, 김민준 교수가 참여한 공동 연구팀은 인공지능과 로보틱스 기술을 적용해 인간형 로봇이 실제 항공기 조종석에 착석한 다음, 조종석의 다양한 장치들을 직접 조작해 비행하는 로봇을 처음 공개했습니다.

 

 

기존 항공기의 자동 비행 장치(오토파일럿)나 무인 비행만 가능한 무인 항공기와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연구진이 개발 중인 조종사 로봇은 인간 조종사에게는 불가능한 전 세계 항공 차트를 전부 기억해 실수 없는 조종이 가능합니다.

 

국내 최초 경항공기 KLA-100에 탑승한 파이봇
국내 최초 경항공기 KLA-100에 탑승한 파이봇국내 최초 경항공기 KLA-100에 탑승한 파이봇

 

특히 최근 큰 이슈가 된 챗(Chat) GPT 기술을 활용해 항공기 조작 매뉴얼 및 비상 대처 절차를 담은 자료(QRH)를 기억하고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항공기의 비행 상태를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안전한 경로를 계산할 수 있어 인간 조종사보다 훨씬 빠르게 비상 상황에 대처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존 로봇이 고정된 위치에서 반복적인 작업만 가능한 것에 비해 조종사 로봇은 장착된 카메라로 조종석 내부 및 항공기 외부 상황을 파악하고 조종간의 각종 스위치들을 정확하게 조작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파이봇이 능숙하게 비행기 조종간을 조작하고 있다
파이봇이 능숙하게 비행기 조종간을 조작하고 있다

 

고정밀 강인 제어 기술을 적용해 진동이 심한 항공기 내부에서 정확한 로봇 팔 및 손 제어가 가능합니다.

 

조종사 로봇은 현재 비행 조종 시뮬레이터에서 항공기의 시동부터 택싱, 이착륙, 순항, 주기 등 모든 조작을 수행하고 있으며, 연구팀은 실제 경비행기에 적용해 항공기를 직접 조종하는 것을 검증할 계획입니다.

 

 

심현철 교수는 “인간형 조종사 로봇은 기존의 항공기들을 전혀 개조하지 않고 즉각적으로 자동 비행이 가능해 실용성 및 활용성이 매우 높다”며 “항공기 뿐만 아니라 자동차, 장갑차 등 다양한 장치의 조작도 가능해 병력 자원 고갈이 심각한 현 상황에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방과학연구소의 미래 도전 과제(총 57억원) 지원으로 지난해부터 개발에 착수해 오는 2026년 최종 완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슈모음보기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